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, 긴급복지, 각종 바우처 지원을 신청하려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“우리 가구가 몇 분위에 해당하는가?”입니다.
소득 분위는 ‘중위소득’을 기준으로 산정되며, 대부분의 복지 정책에서도 중위소득의 50%, 100%, 150% 이하 여부로 대상자를 나눕니다.
이번 포스트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와 함께 소득 분위 확인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!
중위소득이란?
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.
즉, 전체 가구 중 절반은 이보다 많이 벌고, 절반은 이보다 적게 버는 기준선이죠.
정부는 매년 보건복지부 고시를 통해 ‘가구원 수별 중위소득’을 발표하고, 이를 기준으로 복지사업 대상을 판단합니다.
2025년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기준표
가구원 수 | 2025년 기준 중위소득 (월 기준) | 연간 소득 기준 |
---|---|---|
1인 가구 | 2,227,000원 | 약 2,672만 원 |
2인 가구 | 3,714,000원 | 약 4,457만 원 |
3인 가구 | 4,777,000원 | 약 5,732만 원 |
4인 가구 | 5,838,000원 | 약 7,006만 원 |
5인 가구 | 6,856,000원 | 약 8,227만 원 |
6인 가구 | 7,845,000원 | 약 9,414만 원 |
※ 출처: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고시
소득 분위 확인 방법
STEP 1. 내 가구원 수 확인
-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인원을 기준으로 합니다.
- 단, 일부 지원사업은 건강보험 피부양자 기준으로 산정되니 주의하세요.
STEP 2. 월소득 또는 연소득 확인
- 소득은 **세전 기준 소득(원천징수 포함)**입니다.
- 국세청 홈택스 또는 회사 급여명세서 참고
STEP 3. 중위소득과 비교하여 분위 파악
예시)
✔️ 3인 가구이고, 세전 월소득이 3,600,000원이라면?
→ 2025년 기준 3인 가구 중위소득은 4,777,000원이므로
→ 중위소득 75% 수준 ≒ 3~4 분위에 해당합니다.
분위별 분류 (일반 기준)
소득 분위 | 기준 설명 | 예상 적용 대상 |
---|---|---|
1분위 | 중위소득 0~30% 이하 | 기초생활수급자, 생계급여 대상 |
2분위 | 중위소득 30~50% 이하 | 차상위계층, 긴급복지 대상 |
3~4분위 | 중위소득 50~75% | 청년 지원금, 일부 바우처 대상 |
5~7분위 | 중위소득 75~125% | 다자녀 지원, 주택청약 혜택 |
8~10분위 | 중위소득 125% 초과 | 고소득층, 복지 대상 제외 가능 |
소득 분위 확인 꿀팁
- 복지로 사이트 내 ‘복지서비스 모의계산’ 기능 활용
- [정부24 → 마이페이지 → 건강보험 납부내역]에서 본인확인
- ‘국세청 홈택스 → 연소득 계산’ 서비스도 참고 가능
위 버튼 누르시면 정부24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마무리
정부지원금, 소비쿠폰, 긴급복지제도 등 각종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내 소득 분위 파악이 첫걸음입니다.
위 표와 방법을 활용해 정확하게 확인해두시고, 지원 대상자 공고가 뜨면 가장 빠르게 신청해보세요.
📌 “소득은 낮을수록, 가구원 수는 많을수록 분위는 낮아집니다.”